빠르고 든든하게 배 채우고 싶을 때, 김밥만 한 게 없죠.
문제는 당뇨 환자와는 맞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탄수화물인 흰쌀밥이 많이 들어가니 몇 개만 먹어도 금방 혈당스파이크가 생길 거예요.
그럼 당뇨 환자도 즐겁게 먹을 수 있는 김밥이 있을까요? 당뇨 환자의 가족이 직접 알려드릴게요.
당뇨 환자의 김밥 섭취 방법
당뇨 환자라면 김밥 섭취를 안 하는 게 가장 좋지만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재료나 조리법, 식사법을 선택한다면 충분히 즐길 수 있습니다.
당뇨 환자 김밥 먹는 법 1 : 먹는 양 조절하기
가장 간편한 방법이면서도 여러모로 힘들겠죠? 김밥 한 줄에 들어가는 흰쌀밥의 양은 한 공기보다 10~20% 정도 적은데요.
당뇨 환자라면 한 줄 미만으로 먹는 걸 권하고요. 그 이상으로 먹는다면 흰쌀밥을 과하게 섭취하게 되어 혈당스파이크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당뇨 환자 김밥 섭취 관련 참고자료(아래를 눌러보세요)
당뇨 환자 김밥 먹는 법 2 : 단백질 재료 신경 쓰기
스팸김밥, 돈가스김밥보다는 채소가 많이 들어간 야채김밥이 좋아요.
만약 김밥에 흰쌀밥이 들어간 것 자체가 싫거나 부담된다면 밥을 완전히 없애고 두부나 계란만 들어간 키토김밥을 즐기는 것도 좋고요.
흰쌀밥 대신 현미나 잡곡을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특히 밥보다 계란, 두부, 닭가슴살, 참치 등의 단백질 재료가 더 많이 들어가면 포만감은 높여주고, 혈당은 천천히 올라갈 거예요.
당뇨 환자 김밥 먹는 법 3 : 채소는 가급적 많이 먹기
김밥에 들어갈 수 있는 채소 재료는 뭐가 있을까요? 당근, 오이, 시금치, 파프리카, 깻잎, 양배추 등이 있겠네요.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를 김밥에 많이 넣으면 포만감이 올라가고, 혈당은 완만하게 상승합니다. 또 채소의 식이섬유 덕분에 장 건강에도 도움을 주겠죠. 채소는 다다익선입니다.
당뇨 환자 김밥 먹는 법 4 : 나트륨 피하기
단무지, 어묵 등에는 나트륨 함량이 생각보다 많은데요.
나트륨 함량이 높은 재료를 먹으면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으니 가급적 조금만 먹는 게 좋겠습니다.
김밥 재료 관련 참고자료(아래를 눌러보세요)
당뇨 환자가 김밥에 사용할 수 있는 저당 식재료는?
당뇨 환자나 혈당 관리를 해야 하는 분들이 김밥을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재료들을 소개할게요.
크게 밥 대체, 채소, 단백질, 기타 재료로 나눠서 소개할 수 있겠네요.
1. 당뇨 환자를 위한 김밥 재료: 밥을 대체할 수 있는 것
- 현미 또는 잡곡밥
- 퀴노아
- 곤약밥
- 계란 지단(추천)
2. 당뇨 환자를 위한 김밥 재료: 채소류
- 오이
- 당근
- 시금치
- 양배추(추천)
- 부추
3. 당뇨 환자를 위한 김밥 재료: 단백질
- 계란
- 닭가슴살
- 참치(추천)
- 두부(추천)
4. 당뇨 환자를 위한 김밥 재료: 기타 재료
- 아보카도
- 치즈
김밥에 위와 같이 단백질이나 야채를 추가하고 흰쌀밥을 최소화하면 더욱 균형 잡힌 한 끼 식사를 할 수 있을 거예요.
우리 가족은 주로 키토김밥을 먹고요. 대신에 시중에서 판매하는, 특히 편의점 김밥은 먹지 않아요.
편의점 김밥엔 흰쌀밥, 설탕이 많이 들어간 양념, 가공된 햄이 있으니 당뇨 환자라면 먹지 않는 걸 권합니다.
(사실 당뇨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되도록이면 먹지 않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어묵, 떡볶이 등의 분식과 먹는 건 절대 금물! 혈당 폭발합니다.
편의점 김밥 관련 참고자료
마치며
김밥은 빠르고 간편한 식사로 사랑받지만, 당뇨 환자라면 꼭 주의해야 합니다.
밥 대신 현미나 곤약밥, 채소와 단백질을 활용하면 혈당 상승을 최소화하면서도 맛있게 먹을 수 있을 거예요.
아래엔 당뇨 환자의 식사에 도움이 되는 글들을 여러 개 써두었어요.
네모 박스를 누르면 자세하게 읽을 수 있을 거예요. 꼭 도움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