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이 먹고 싶은데, 당뇨 때문에 고민되시나요?
햄은 가공육으로 맛과 보관성이 뛰어나지만, 나트륨과 첨가물이 많아 당뇨 환자에게 위험할 수 있어요.
다만 올바른 선택과 조리법을 지킨다면 가끔 소량은 섭취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당뇨 환자가 햄을 먹을 때 주의해야 할 점과 건강한 대체 식품을 알려드릴게요.
1. 당뇨 환자는 햄을 먹어도 될까?
햄은 가공육이라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요.
- 나트륨 함량: 100g당 1,000mg 이상(고혈압 위험!)
- 방부제와 첨가제: 인산염, 질산염이 포함되어 신장 부담
- 포화지방: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혈당 관리에 악영향
따라서 당뇨 환자는 햄을 먹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만, 먹어야 한다면 저염 제품을 선택하고 적정량을 지켜야 합니다.
그럼 당뇨환자는 어떤 햄을 먹는 게 좋을까요?
2. 당뇨 환자를 위한 햄 선택 방법
햄을 선택할 때는 나트륨과 첨가물, 지방 함량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1) 나트륨 함량
- 100g당 400mg 미만인 제품 선택하기
- 고나트륨 햄(1,000mg 이상)은 피하기
2) 첨가물 확인
- 아질산염, 인산염이 없는 제품 선택하기
- 방부제, 색소가 들어간 제품은 피하기
3) 지방 함량
- 포화지방 1.5g 미만 제품 선택하기
- 지방 함량 20% 이상 제품은 피하기
3. 당뇨 환자의 햄 섭취 방법
햄을 건강하게 먹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리법을 개선해야 합니다.
1) 나트륨 줄이는 방법
- 끓는 물에 30초 데쳐서 염분과 첨가물 제거
- 흐르는 물에 헹구면 식품첨가물 70% 감소!
2) 건강한 조합
- 부추, 팽이버섯 등 식이섬유가 많은 채소와 함께 먹기
- 샌드위치용 흰 식빵보다는 대신 현미나 귀리와 함께 먹기
3) 섭취량 조절
- 1회 섭취량: 슬라이스 햄 1장(25g) 미만
- 월 1~2회 이하로 제한
4. 햄 대신 먹을 수 있는 대체 식품
햄을 대체할 수 있는 건강한 단백질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1) 단백질 식품
- 닭가슴살: 100g당 포화지방은 0.3g, 나트륨은 60mg
- 두부: 식물성 단백질 풍부, 나트륨이 적어요.
- 훈제 연어: 오메가3 지방산이 혈당 관리에 딱입니다!
2) 햄 대용 레시피: 닭산적
당뇨 환자분들이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닭가슴살과 채소를 활용한 레시피를 추천할게요.
당뇨 환자용 닭산적 만들기
- 재료: 닭다리살 80g, 새송이버섯 20g, 아스파라거스 10g
- 조리법:
- 닭살은 지방을 제거하고 1cm 두께로 얇게 자르기
- 야채는 5cm 길이로 썬 후 꼬치에 번갈아 끼우기
- 간장 2작은술과 레몬즙 1작은술을 섞어 양념 후 조리하기
- 중약불에서 구워주세요!
5. 결론: 햄은 가능한 피하고, 대체 식품 선택하기!
결론적으로, 당뇨 환자는 햄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아요.
부득이하게 먹어야 한다면 저염 제품을 선택하고, 반드시 끓는 물에 데쳐서 첨가물을 제거한 후 채소와 함께 섭취해 주세요.
하지만 건강을 생각한다면 햄 대신 닭가슴살, 두부, 연어 같은 대체 식품을 활용하는 것이 훨씬 안전합니다.
작은 식습관 변화가 혈당 조절과 건강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니 꼭 실천해 주세요!!
그럼 이번 글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비비고 도톰 동그랑땡, 당뇨 환자는 먹어도 될까요? (동그랑땡 혈당 알아보기)
추석이나 설날에 가족이 함께 모이면 꼭 먹는 게 있죠? 바로 동그랑땡입니다. 요즘은 시중에 판매하는 제품들도 꽤 잘 나와서 이번 명절에도 어김없이 하나 샀는데요. 바로 비비고 도톰 동그
journey-001.tistory.com
오다다 슈가컷피티로 식후 혈당 관리 해결!!! (당뇨 환자 가족의 추천, 광고 아님)
3년 가까이 가족과 함께 혈당 관리를 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건강을 챙기면서 식후 혈당 관리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어요. 식사 후에는 늘 커피를 마시는 습관이 있었는데,카페인이 부담스럽기
journey-001.tistory.com
당뇨환자는 감자튀김을 먹어도 될까요? (당뇨환자 가족이 알려드려요)
감자튀김만큼 중독적인 맛이 또 있을까요? 햄버거, 케첩과 같이 먹으면 참 맛있죠. 근데 감자튀김이 당뇨환자에겐 괜찮을까요? 튀긴 음식이라고 무작정 피하기보단 현명하게 먹는 게 더 중요한
journey-001.tistory.com